멸종 위기 상어 시리즈 4
머리가 매우 특이한 귀상어 중 보닛 헤드 상어는 머리가 가장 작은 상어에 해당하고 대표적인 소형 상어로서 다양한 지역에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고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계속되는 상업적 어업 등에 의해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보닛 헤드 상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체 정보
귀상어 중 가장 작은 머리를 가지고 있는 보닛 헤드 상어는 유선형의 삽 모양의 머리가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고 길이는 80cm 에서 90cm이며 최대 크기는 약 150cm 입고 등 부분은 짙은 회갈색을 띠고, 배 부분은 흰색을 띠고 보통 5~15마리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이동하고 귀상어는 해양 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강한 음성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엄치지 않으면 가라앉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주로 꽃게, 새우 등의 갑각류와 연체동물,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로 섭취하는데, 입 앞쪽에 작고 날카로운 이빨과 뒤쪽에 평평하고 넓은 어금니를 가지고 있어 꽃게나 새우 껍질을 부수고 먹이를 섭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해초를 섭취하기도 하는 등 잡식성 식성을 보여 주고
보닛 헤드 상어는 서부 대서양과 동부 태평양에서 모두 서식하고 있고 서식지를 지리적인 기준으로 분류하면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고 북서부 및 중서부 대서양(미국, 바하마, 멕시코), 카리브해 및 남서부 대서양(벨리즈 남쪽에서 브라질, 파나마 및 트리니다드 포함, 토바고), 동부 중부 및 남동 태평양, 그리고 대서양에는 미국 로드 아일랜드에서 최소한 브라질과 우루과이의 바이아까지, 태평양에서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페루까지 복합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보닛 헤드 상어는 진흙과 모래, 해초, 산호초, 강어귀, 얕은 만과 해안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온 21도보다 따뜻한 지역의 미국 해안에서 서식하게 되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플로리다와 멕시코 만에서 주로 서식하다가 겨울이 되면 수온이 따뜻한 적도 부근에서 서식하게 되고 수컷은 68cm 에서 85cm 크기에서 성체로 성장하게 되며, 암컷은 일반적으로 80cm에서 95cm까지의 크기를 보여 주고 번식은 태반 태상이며 1년에 한 번 4~16마리의 새기를 낳게 되고 임신기간은 상어 중에서 가장 짧은 기간 중 가지고 있는데 4.5~5개월 정도가 임신기간입니다.
멸종위기종
보닛 헤드 상어는 대서양 서부와 태평양 동부의 수심이 낮은 연안 해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귀상어이고 북서부 및 중서부 대서양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바하마, 멕시코와 카리브해 및 남서부 대서양에 해당하는 벨리즈 남쪽에서 브라질, 파나마, 트리니나드 토바고, 동부 중부 및 남동 태평양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서식하고 있고 상어 종류 중 개체 성장률이 가장 높은 종이기 때문에 다른 상어 종에 비해서 어업에 의한 사망률에 대해 민감하지 않고 하지만 이런 높은 번식률에도 불구하고 전 지역에 걸쳐 급격한 감소세가 보고되고 있고 미국, 바하마, 멕시코에서는 집중적인 관리로 인해 안정적인 개체 관리가 진행되고 있고 카리브해와 남서부 대서양 지역은 과거 80년대에 비해 상당 수의 개체가 감소했고 특히 브라질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평가받고 있고 동부 중부 및 남동부 태평양에서는 과거 캘리포니아 만과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 풍부하게 분포되었고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보닛 헤드 상어 포함하여 해안의 작은 상어로 어업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점점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고 광범위하고 독립적인 조사를 실행했던 멕시코에서도 2006년에 한 번 발견된 이후 관찰되지 않았고 중남미에서는 최근 36년 동안 80% 이상의 개체군 감소가 이뤄진 것으로 보이고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에서는 낮은 어획 사망률, 대서양에서의 감소, 태평양에서의 감소 등의 광범위한 지역의 데이터를 모아 보면, 지난 36년간 70~80% 의 개체군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연안개발 및 어획으로 인한 위협에 의해 멸종위기종에 선정되어 보호 관리받고 있고 북서부 및 중서부 대양에서는 저인망 등을 이용한 상업적 어업과 낚시를 통한 레크리에이션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상업적 어획량은 평균 15,305 파운드였고, 일반 레저 낚시를 통해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어획량은 평균 12,898마리였고 남서부 대서양에서는 남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의 대부분 지역에서 상업적 어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고 특히 베네수엘라에서의 어업은 집약적이며 관리가 부족하며 연속적인 남획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동부 중부 및 남동 태평양에서는 상어를 표적으로 하는 어업이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고 통계자료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만과 멕시코 남부에서는 더 이상 보닛 헤드 상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주된 이유는 관리되지 않은 과도한 어업과 해안지역 개발로 인한 서식지 손실 등입니다.
지금까지 멸종위기 어종인 보닛 헤드 상어에 대해서 정리해보았고 광범위한 지역에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개체군을 지키기 위한 인근 국가 간의 긴밀한 협력과 협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참고문헌 : IUCN 적색목록(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