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뱀이라고도 불리는 주사위 뱀은 과거에는 유럽이나 아시아 전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파충류였지만 최근 들어 애완동물 또는 식용으로 일부 국가에서 무분별하게 수집되면서 개체수가 급감하였고, 결국 멸종위기 최소 관심종으로 지정되었는데 주사위 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체 정보
다양한 서식지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 스위스, 루마니아와 같이 일반적인 고밀도 서식지에서의 대부분의 개체군은 매우 안정적이고 특히 여러 유럽 범위 국가의 사이트에서 모니터링 대상이 되었으며, 독일과 스위스에서는 하위 개체군 내 감소와 일부 지역에서의 감소 및 멸종이 보고되었는데 대부분 서식지 환경 악화와 파괴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추정되고 이집트와 이스라엘에서는 전체적인 개체수 감소가 확인되었고 유럽의 경우에는 스위스와 독일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본토, 슬로베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까지 분포하고 있는데 이밖에도 루마니아, 불가리아,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남부, 그리고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그리스에도 폭넓게 분포하고 있고 러시아 북부와 우크라이나에서는 기후가 비교적 온난한 지역에서 유사한 품종이 발견되기도 하였으며 유럽 이외의 지역은 터키,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요르단 및 이집트 북부 지역과, 코카서스 산맥, 이란, 이라크, 중국 북서부 및 파키스탄 북부, 중앙아시아까지 분포하고 아라비아 반도와 요르단 산맥과 접해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최북단에서는 확인된 기록이 없는데 가장 최근에는 파키스탄에서 재발견되었다. 평균 해발 2,800m까지의 고지대에서도 분포하고 있고 강, 해안, 개울, 호수, 연못과 같은 곳에 서식하는 수생 종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농업 및 기타 교란 지역에 서식하기도 하고 유럽에서 수중 생활을 가장 선호하는 뱀이며 다른 독사보다 더 큰 수역을 선호하며 흑해 연안의 트리에스테 해안선을 따라 먹이를 찾는다는 조사 결과가 확인되기도 하였는데 주간과 야간 모두 활동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완전한 야행성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지중해, 흑해 및 카스피해를 따라 일부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는 대부분 겨울잠에 들어가며, 주된 활동 기간은 일반적으로 3월부터 10월까지이며 번식기간에 주사위 뱀은 5개에서 37개까지의 알을 낳게 되며, 새끼는 8월이나 9월 사이에 부화하고
멸종위기 최소 관심종
주사위 뱀은 광범위한 고밀도 분포, 서식지 파괴에 대한 내성 등으로 규모 감소에 대한 위험이 상당히 낮지만, 최근 들어 개체수 급격히 감소하면서 멸종위기 최소 관심종으로 지정되었고 주사위 뱀은 전 세계적으로 위협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들어 하천 개발사업과 호숫가 개발을 통한 일부 습지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서식지가 손실되거나 또는 변형되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고 특히 서부 및 중부 유럽 범위 국가에서 위협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또한 짝짓기나 번식시기에 도로로 내려와 운행하는 차량에 치이는 로드킬을 당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고 애완동물 거래를 위해 이집트, 시리아 및 이라크에서 대량으로 수집되는데 특히 이집트에서는 주사위 뱀 전문 시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중대한 위험요소로 작용하는데 다른 여러 종류의 뱀과 마찬가지로 이 종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박해를 받고 외부에서 유입된 생태계 교란종에 의한 서식지 파괴 역시 환경오염과 마찬가지로 생존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현재 독일과 스위스를 포함한 서유럽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생존한 개체군도 고립되어 있어 상당히 심각한 상황으로 볼 수 있고 다행히 독일 동부를 비롯한 이전의 서식지로 재유입 되고 있는 상황인데 주사위 뱀은 베른협약의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법과 제도로 보호받고 있고 분포 범위 전체에 걸쳐 많은 지역이 보호 지역으로 지정되어있고, 이를 통해 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또한 서식지 복원, 모니터링 및 개체 보전 프로젝트는 현재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고 보존활동을 위해서는 분류학적 상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개체군에 대한 최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고 외부 유입 생태 교란종 제거는 주사위 뱀 개체 보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주사위 뱀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았는데 일부 국가에서 전문 거래 시장이 있을 정도로 국제적 무역이 활발하고, 이로 인한 멸종위기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개체 보호를 위한 수집 금지와 국제 거래 금지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 참고문헌 : IUCN 적색목록(2022)
'멸종위기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면 못 보게 될지도 모르는 새들 (0) | 2021.12.27 |
---|---|
인간들에 의해 사라져 가는 점박이 해마 (0) | 2021.12.26 |
유럽에서 보기 힘들어지는 뱀 시리즈1 (0) | 2021.12.25 |
보기 힘든 동물들 (0) | 2021.12.25 |
보호가 시급한 동물들 (0) | 2021.12.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시베리아노루
- 노란반점개구리
- 아마존앵무새
- 청실잠자리
- 주사위뱀
- 검은종달새
- 솔기머리사슴
- 샌드타이거상어
- 멸종위기동물
- 사할린뇌조
- 사바나원숭이
- 앤틸리스이구아나
- 꼬까도요새
- 히스파니올란잉꼬
- 톱니상어
- 멸종위기상어
- 점박이해마
- 그레나다비둘기
- 나무개구리
- 무딘코상어
- 남극
- 적갈색흰죽지
- 갈대뱀
- 버뮤다육지달팽이
- 플로리다반딧불
- 큰귀상어
- 일본산호뱀
- 멸종위기
- 자파타뜸부기
- 넓적부리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